본문 바로가기
복지

청년희망적금 신청방법, 혜택, 조건, 이자, 만기, 총정리! 한방에 정리

by jinhyuk._.c 2022. 10. 26.

청년 희망 적금이란???

2022년이 시작되면서 새로운 정책 중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청년희망적금이 신설되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인턴, 아르바이트, 사회 초년생 등


저소득층의 청년들이자산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정부 지원형 적금입니다.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만큼 혜택은 좋은 편이나 조건이 까다롭습니다.

그래서 오늘 청년희망적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대상자는 누구인지 지원 혜택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지원 혜택 및 이자, 만기

1) 저축장려금 4%

청년희망적금은 월 5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2년 만기 적금 상품입니다. 일반 적금과의 차이점은 납입액에 따라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점인데요. 시중 이자에 4% 정도의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만기는 2년 " , 가입기간2년 만기(전체 은행 1인 1계좌)

 


매월 50만 원씩 2년간 총 1,200만 원을 적금을 넣을 수 있는데 여기에 시중금리 2~4% + 저축장려금 4% 만큼 추가로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시중 금리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약 6~8% 정도의 이자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자는 6 ~ 8 %"  납입한도월 최대 50만원(연간 600만원)

2) 이자 소득 비과세

청년희망적금 이자는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 적금의 경우 발생한 이자의 소득세 14% + 지방세 1.4%를 더한 15.4%가 세금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청년희망적금은 이러한 이자에 대해 세금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이자소득 비과세 지원을 받으려면 올해 말까지는 가입해야 합니다.
3) 타 청년지원과 중복가입 가능

"혜택 =  세금 면제 혜택"


청년희망적금의 장점 중 하나는 다른 청년대상 지원을 받고 있어도 가입이 가능하다는 것인데요. 년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등과 중복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의 이득은?

1) 저축장려금
핵심 혜택이라고 볼 수 있는 저축장려금은 1 년 차의 경우 2%, 2년 차의 경우 4%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월 50만 원씩 2년간 납입하게 되면 최대 36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시중 금리

청년희망적금은 월 50만 원 한도의 2년 만기 적금 상품입니다. 월 50만 원씩 2년간 납입하게 되면 총 12,000,000원의 금액을 적립할 수 있습니다. 만약 시중 금리가 2%라고 가정할 경우, 211,500원의 이자 소득이 발생하게 됩니다.

 

"금리 = 출시은행별 상이"




3) 이자 소득세 면제

위에서 계산한 결과 이자 소득세 15.4%가 발생하여 38,500원을 내야 하지만, 청년희망적금은 이자 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자과세 38,500원 또한 이득이 되는 셈입니다.

 


정리를 해보자면 시중금리(2%로 가정) 211,500원 + 이자 비과세 38,500원 + 저축장려금 360,000원으로 총 610,000원의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조건!!

청년희망적금은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만큼 혜택이 좋은 편이니 조건이 까다롭습니다. 지원 대상은 나이와 급여액에 관한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데요. 아래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직전 과세기간(2021년 1월~12월) 총 급여액 3,600만 원 이하(종합소득 금액 2,6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금액으로 표시된 이유는 총 급여액이 3,600만 원일 경우, 기본 공제 후 종합소득 금액이 2,600만 원으로 정해지기 때문입니다. 프리랜서나 사업자의 경우 종합소득 금액 2,600만 원만 충족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2019년~2021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는 가입이 제한되며, 소득을 증명할 수 없을 경우에도 가입할 수 없습니다.

직전 과세기간(2021년1월~12월)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인 22년 7월 까지는 전전년도(20년 1월~12월)의 소득으로 개인 소득 요건 및 가입 가능여부를 판단합니다.

가입 이후 확정된 직전 과세기간 소득이 개인소득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축 장려금은 지급되지만,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2) 만 19세 ~34세 청년 (병역이행 기간 최대 6년 연장 가능)

청년이 대상인 만큼 나이를 만족해야 하는데 군필자의 경우에는 해당 복무 기간만큼 최대 6년까지 연장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청년희망적금은 경남은행, SC제일은행,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 은행 13개의 은행에서 가입가능하며 위 은행의 어플에서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연 5%의 기본금리 외에 은행별로 비대면 가입이나 자사 IRP 가입, 주택청약 신규 가입 등 우대 금리 조건이 상이하기 때문에 자신의 조건과 비교하여 가장 유리한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은행별 우대금리]

은행명
우대금리
우대금리 조건
KB국민
최대
연 1%
- 급여이체 우대이율 (연 0.5%p)
- 자동이체우대이율 (연 0.3%p)
- 첫거래 우대이율 (연 0.5%p)
* 해당 조건을 다 충족하였더라도. 최대 연 1%까지만 우대이자율 제공
신한
최대
연 1%
- 신한 인증서(신한 Sign)발급받은 경우 (연 0.2%)
- 머니버스 가입하고 금융자산 1개 이상 연결한 경우(연 0.3%)
- 소득이체실적(50만 원 이상 입금)이 있는 경우 (연 0.5%)
- 상품가입 신규 직전 1년간 신한은행 적금이 없었던 경우 (연 0.5%)
* 해당 조건을 다 충족하였더라도. 최대 연 1%까지만 우대이자율 제공
하나
최대
연 0.7%
- 급여 및 주거래이체 (연 0.2%)
- 신용카드 실적 12회차 이상 (연 0.2%)
- 청약 신규 및 보유 (연 0.2%)
- 마케팅 동의 (연 0.1%)
우리
최대
연 0.7%
- 첫거래 고객 (연 0.5%)
- 출시기념 특별 우대금리 3월 31일까지 가입 시(연 0.2%)
NH 농협
최대
연 0.5%
- 급여이체실적이 112개월 이상 (연 0.3%)
- 은행에서 발급한 NH농협 개인 신용(체크)카드 월평균 20만원 이상 이용실적 (연 0.2%)
기업
최대
연 0.9%
- 종이통장 미발행한 경우 (연 0.3%)
- 당행 급여이체 실적(월 50만원 이상)이 6개월 이상 있는 경우 (연 0.3%)
- 당행 신용(체크)카드 3백만 원 이상 사용하는 경우(연 0.3%)
부산
최대
연 0.5%
- 주택청약종합저축 보유 우대 (연 0.3%)
- 비대면 채널 가입 우대(연 0.2%)
대구
최대
연 0.5%
- 대구은행 개인 IRP 보유 (연 0.1%)
- 대구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 보유 (연 0.2%)
- 자동이체 18회차 입금 (연 0.2%)
광주
최대
연 0.2%
-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동의 (연 0.1%)
- 무통장·비대면 신규로 예금 가입 (연 0.1%)
전북
최대
연 0.2%
- 자동이체 실적우대 (연 0.2%)
제주
최대
연 0.5%
- 매월 50만원 이상 급여이체 실적 또는 카드대금 이체 실적 보유( 연 0.3%)
- 매월 저축건별 자동이체 거래 시 (연 0.2%)
경남
  종료
SC제일
 
출시예정

 

 

청년희망적금의 정식 출시는 2월 21일부터이며, 2월 18일까지 미리보기를 통해 가입 대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입 대상을 확인한 경우 21일에 별도의 확인 절차 없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상품 출시 첫 주인 21일부터 25일까지는 출생 연도별로 5부제가 적용됩니다.

구분
2월 21일
2월 22일
2월 23일
2월 24일
2월 25일
가입가능 청년
1991년
1996년
2001년 생
1987년
1992년
1997년
2002년 생
1988년
1993년
1998년
2003년 생
1989년
1994년
1999년 생
1990년
1995년
2000년 생

 

해지방법

은행 방문후 창구에서 신청을 하셨다면 창구에서 가능하고 온라인으로 신청을 하셨다면 온라인어플에서 해지가 신청이 가능합니다.

 

 

 

 

관련자료

주민등록등본·초본 인터넷에서 발급하기! 정부24에서 발급하기 신청하기! 동사무소 NO!!! 집에서 간편하게 발급하자~!!

 

주민등록등본·초본 인터넷에서 발급하기! 정부24에서 발급하기 신청하기! 동사무소 NO!!! 집에서

주민등록등본·초본이란 '주민등록등본·초본'은 자신의 신분을 인증하는 신분증 역할을 하는 서류 중 하나입니다. 예전에는 동사무소에 방문해서 발급받았지만 요즘은 손쉽게 인터넷으로도 발

daily.from-my-daily.com

가족관계증명서 인터넷에서 발급하기!! 동사무소 NO!!! 집에서 간편하게 발급하자~!!

 

가족관계증명서 인터넷에서 발급하기!! 동사무소 NO!!! 집에서 간편하게 발급하자~!!

가족관계증명서란 '가족관계증명서'는 가족구성원의 관계를 증명하는 서류이자 출생과 사망 혼인등을 증명해주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대출을 진행하려는 사람의 가족 신원을 확인

daily.from-my-dail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