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개발에 관련된 정보

프로토콜(Protocol) 이란?? 프로토콜의 간단 정리~!!

by jinhyuk._.c 2022. 10. 28.

프로토콜(Protocol) 이란??

 

프로토콜의 의미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세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입니다.

통신 프로토콜은 신호 체계. 인증 그리고 오류 감지 및 수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통신의 동기 과정 등을 정의하기는 하지만 구현되는 방법은 독립적입니다.그렇기 때문에 프로토콜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그리고 때로는 모두를 사용하여 구현되기도 합니다. 즉, 프로토콜이란 통신의 규칙과 약속입니다.

 

 

프로토콜 종류

 

응용계층(Application)   HTTP, SMTP, FTP, Telnet
표현계층(Presentation)  ASCII, MPEG, JPEG, MIDI
세션계층(Session)  NetBIOS, SAP, SDP, NWLink
전송계층(Transport) TCP, UDP, SPX
네트워크계층(Network)   IP, IPX
데이터 링크계층(Data Link) Ethernet, Token Ring, FDDI, Apple Talk
물리계층(Physical)  없음

 

 

프로토콜의 요소 

 

구문(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Format), 부호화(Coding), 신호 레벨(Signal Level) 등을 규정
의미(Semantics) :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
시간(Timing) :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 메시지의 순서 제어 등을 규정

 

 

프로토콜의 구성


물리적 측면 : 자료 전송에 쓰이는 전송매체, 접속용 단자 및 전송 신호, 회신 규격 등을 말합니다
논리적 측면 : 프레임의 구성, 프레임 안에 있는 각 항목의 뜻과 기능, 자료 전송의 절차등을 담습니다..

논리적 측면 예시)

 

폐쇄적인 프로토콜: 자사 장치들끼리 통신하기 위한 독자적인 통신 규약이며, 자세한 규격이 공개되어 있지 않아서 크래킹 위협에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공개된 범용 프로토콜: 여러 장치들에 쓰이는 널리 알려진 규격이며, 규격이 널리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컴퓨터와 네트워크 크래킹에 취약한 편입니다.

 

 

 

프로토콜의 기능

주소 설정(Addressing) : 통신을 하기위해서는 통신의 대상이 누구인지를 알아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프로토콜에는 각 전송 계층에 맞는 주소를 지정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순서 제어(sequence Control) : 데이터가 전송될때는 PDU(Protocol Data Unit)을 통해서 하나의 데이터를 여러개의 각 프로토콜에 맞는 단위로 쪼개어 전송하게 됩니다. 순서제어란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전송될 때 순서를 명시하는 기능이며 연결지향형(예를 들어 TCP 프로토콜)에만 사용합니다. 순서를 지정하는 이유는 흐름제어, 혼잡제어, 오류제어를 위해서이다. 순서제어에 의해서 정해진 PDU를 수신측에 보내면 순서에 맞게 데이터를 재구성합니다.



분할 및 재조립(Fragmentation & Reassembly) : 한꺼번에 덩어리가 큰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은 통신에 있어서 비효율 적이기 때문에 하나의 데이터를 전송 효율이 높은 작은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해당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재조립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캡슐화(Encapsulation) : 위에서 언급한 PDU는 PCI(protocol Contorl Unit)와 SDU(Service Data Unit)으로 구성 된다. PCI는 각종 헤더 정보(발신지 주소, 수신지 주소, 순서 번호, FCS 등)를 담고 있고 SDU에는 실제 서비스 데이터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통신을 구성하는 각각의 Layer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캡슐화를 통해 포장하는 과정을 거치며,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캡슐화된 데이터는 수신측에서 역캡슐화 하는 과정을 통해 각각의 Layer를 통과합니다.



연결 제어(Flow Control) : 흐름 제어는 송신측에서 오는 데이터의 양이나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송신과 수신에 있어서 속도차이로 인한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합니다.



오류 제어(Error Control) : PDU로 데이터를 교환할 때 SDU나 PCI가 잘못되었는지 발견하는 기법을 오류제어라고 합니다. 오류 제어는 순서를 검사하거나 특정 시간 안에 데이터를 받지 못하면 재전송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집니다.



동기화(Synchronization) : 송수신측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점을 정확하게 일치 시키기 위한 기법입니다.

 


멀티플렉싱(Multiplexing) : 하나의 통신 선로에서 시스템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기법을 다중화라 합니다.



전송 서비스 : 전송 서비스는 우선 순위 결정, 서비스 등급과 같은 보안 요구 등을 제어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다음글은 PKCS에 대한 내용인데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아 남겨드립니다.

2022.10.25 - [cryptology] - PKCS란? 공개키 암호표준이란?? PKCS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PKCS란? 공개키 암호표준이란?? PKCS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PKCS란? 공개키 암호 표준이란? PKCS는 Public-Key Cryptography Standard로 RSA 시큐리티에서 정한, 공개 키 암호의 사용 방식에 대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즉 공개키 암호의 통신 규약입니다. 공개 키 기반

daily.from-my-daily.com

 

반응형

댓글